쉐라톤 인천에 숙박하러 가는 길에 인천 차이나타운을 들렀다. 주차를 걱정했는데, 좀 일찍 (점심시간 전) 가서였는지 한중문화관 주차장에 무난히 주차했다.
이 곳은 “1883년 인천항 개항 후 1884년에 만들어진 중국(청나라) 조계지에 화교들이 모여들면서 형성” 되었단다. 청관이라고 불렸나보다.
자장면을 공화춘에서 처음 만든 건지는 확실치 않으나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처음 만들어진 건 확실한가보다.
조계(租界)란 “개항 도시의 외국인 거주지“를 말하는데, 인천의 경우 중국(대표적인 곳이 상하이)의 조계처럼 외국인이 행정자치권이나 치외법권을 가지고 있었는지 모르겠다.
예상 외로 먹거리가 많은 곳. 달고나 하나씩 (천원) 먹으며 시작. 아내 말로는 이건 달고나가 아니라 뽑기라는데, 달고나라고 써 있었음. 참고로 사진 뒷편의 큰 길이 청나라와 일본 조계지의 경계였다. 앞 쪽이 청나라 조계지, 뒷 쪽이 일본 조계지.
공갈빵, 월병 등 꽤 많은 군것질 거리를 길에서 팔고 있었다. 사진 왼쪽 아저씨는 양꼬치를 팔고 있었는데, 거리에서 파는 양꼬치가 중국에 있다는 얘긴 들었는데 한국에선 처음 본다.
대형 중국집들이 앞에 보인다. 자장면이 만들어진 곳으로 알려진 ‘공화춘’이란 이름을 쓰는 중국집도 정면에 있음.
여러 먹거리 집들 중 ‘만다복’이란 중국집과 ‘십리향’이란 월병집만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렸다. 주위에 비슷한 집들이 많은데 어찌 그 집들에만 사람들이 줄을 서서 기다리는지 궁금했음. 손님 capacity가 작거나 제조가 느려서 그런 건지, 아니면 특별한 뭔가가 있는 집들인지…
제3패루(牌樓). 패루란 중국식 아치형 대문 (traditional Chinese architectural gating style as an arch)을 말한다.
짜장면 박물관이 있어 들어가봤다. 옛 공화춘 건물에 만들어 놓은 것. 입장료는 성인 천원, 애들은 500원. 중간 중간 화교로 보이는 직원 총각(?)이 해주는 설명을 듣는 재미가 있다. 인천 차이나타운에서 출발해 세계로 뻗어나간 짜장면. 실제 나도 캘리포니아에서 짜장면을 먹어본 바 있음.
박물관 한켠의 조그만 공간에서는 짜장라면 특별전을 하고 있었는데 우리나라에 그렇게 많은 짜장라면이 있는 줄 처음 알았음. 내가 아는 건 짜파게티와 짜짜로니 밖에 없는데.
이 건물에 대한 설명 (출처는 위키피디아인데 차이나타운 홈페이지의 내용과는 약간 다르다.):
공화춘 건물은 청나라 조계지에 1908년 무렵 중국 산둥 지방의 장인이 참여하여 중정을 갖춘 지상 2층으로 건립되었다. 준공 당시에는 무역상들에게 숙식을 제공하는 객잔으로 사용되었다.
중화요리 식당 공화춘은 산둥 성 출신의 화교 우희광(于希光, 1886년 ~ 1949년)이 1912년에 개업하여 운영하다가 1983년에 폐업하였다. 공화춘의 전신은 현재 공화춘 자리가 아닌 다른 곳에서 우희광이 개업한 숙식업소 산동회관(山東會館)으로 1912년경에 중화민국의 수립을 기념하여 공화춘(공화국 원년의 봄)으로 개명하였다. 현재 장소로 옮겨 온 시기는 이르면 1917년, 늦어도 1934년으로 추정된다.
짜장면 박물관 내부: 이런 사람들이 먹기 위해 짜장면이 만들어졌다는 얘기
짜장면 박물관 내부: 수십년 전의 중국집 분위기. 이때만 해도 중국집이 패밀리 레스토랑이었다. 그런데 어라, 아는 사람이 있네?
원래는 차이나타운 구경 후 짜장면을 먹으려고 했는데, 짜장면이 싫다는 애들 때문에 못 먹었다.
난 이곳이 참 마음에 들었다. 과거의 모습이 남아있는 골목골목에서 역사를 들여다 볼 수 있어 재미가 있었는데, 가족들은 안 그랬나보다. 게다가 황사 때문인지 아내와 아이들은 눈도 아프고 목도 아프다고 해서 더 돌아볼 수가 없었다. 다음에 한 번 더 가볼 셈이다.
PS: 사진 좀 찍어보겠다고 무거운 DSLR까지 들고 갔는데 몇 장 찍다가 이상해서 살펴보니 메모리카드를 안 넣어 갔었다… 아놔…결국 아이폰 사진사 신세.
[catlist conditional_title=”2013년 3월 주말 인천 여행” search=”2013년 3월 주말 인천 여행” template=custom]